1. Math.min: 최소값 반환
예시: `Math.min(5, 2, 8, 1) // 1`
2. push: 배열 마지막에 요소 추가
예시: `let arr = [1, 2]; arr.push(3); // arr는 [1, 2, 3]`
3. pop: 배열 마지막 요소 반환 및 제거
예시: `let arr = [1, 2, 3]; let last = arr.pop(); // last는 3, arr는 [1, 2]`
4. replaceAll: 문자열에서 모든 일치 항목 교체
예시: `"hello hello".replaceAll("hello", "hi") // "hi hi"`
5. replace: 문자열에서 첫 번째 일치 항목만 교체
예시: `"hello hello".replace("hello", "hi") // "hi hello"`
6. split: 문자열을 구분자로 나누어 배열 반환
예시: `"a,b,c".split(",") // ["a", "b", "c"]`
7. map: 배열의 각 요소에 함수 적용하여 새 배열 반환,요소를 변환하여 새배열을 만들기에 filter와 차이가 있음
예시: `[1, 2, 3].map(x => x * 2) // [2, 4, 6]`
8. join: 배열 요소를 문자열로 연결
예시: `["a", "b", "c"].join("-") // "a-b-c"`
9. includes: 문자열 또는 배열에 특정 요소 포함 여부 확인
예시: `[1, 2, 3].includes(2) // true`
10. new Set: 중복 제거한 객체 생성
예시: `new Set([1, 2, 2, 3]) // Set(3) {1, 2, 3}`
11. ...(스프레드 연산자)**: 반복 가능한 객체를 펼침
예시: `let arr = [1, 2, 3]; console.log(...arr) // 1 2 3`, [...arr1, ...arr2] // 스프레트 연산자 활용하여 배열 결합도 가능하다
12. concat: 배열이나 문자열 결합
예시: `[1, 2].concat([3, 4]) // [1, 2, 3, 4]`
13. * 1 (형 변환):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
예시: `"5" * 1 // 5 (숫자)`
14. +'문자열' (형 변환):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
예시: `+"5" // 5 (숫자)`
15. sort(): 배열 정렬
예시: `[3, 1, 4, 1, 5].sort((a, b) => a - b) // [1, 1, 3, 4, 5]`
16. toLowerCase()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
예시: `"HELLO".toLowerCase() // "hello"`
17. toUpperCase():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
예시: `"hello".toUpperCase() // "HELLO"`
18. substr(start, length): 문자열의 일부 추출
예시: `"hello".substr(1, 3) // "ell"`
19. reduce: 값 누적하여 계산 시 사용
예시:"exp.reduce((a,b) => a + b, 초기값)" //exp에 있는 값들을 순서대로 누적하여 더함
20. slice: 배열이나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여 새로운 배열이나 문자열을 반환하는 메서드
- start: 추출을 시작할 인덱스 (포함). 생략하면 0부터 시작합니다.
- end: 마지막 인덱스 이전값 까지만 출력
21. startsWith : 해당 문자열이 특정 문자로 시작하는지 확인하여 결과를 boolean 값으로 반환
22. endsWith : 해당 문자열이 특정 문자로 끝나는지 확인하여 결과를 boolean 값으로 반환
23. filter : 특정 조건을 해당하는 배열을 새로운 배열로 생성할 때 사용 (원본 배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값만 추출하므로 부분집합에 해당한다)
24. splice : 배열의 기존 요소를 지우거나, 지우고 새로 추가할 때 사용
arr.splice(start, deletCount, 추가값(배열만 가능))
25. js에서는 문자열도 인덱스로 접근가능하다.
26. flat : 배열평탄화 함수, [[],[]], [[[],[]],[]] 등의 다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로 평탄화 할 수 있다
27. lastIndexOf : 요소값으로 마지막 인덱스 번호 추출
28. indexOf : 요소의 첫 번째 값부터 찾음, ex) indexOf( app, 2(선택)) // 두번째 인자는 해당 인덱스부터 검색 시작한다는 뜻